Premium Only Content
서학조선을관통하다,정민,달레,한국천주교회사,유군명,시메온,신유박해,노비문서, 속량노비, 눌암기략, 법문, 천주교, 이존창, 주문모신부, 샤스탕, 이여진요한, 버선,신태보, 신앙생활
서학의 태동기부터 신유박해까지
호교(護敎)와 순교를 넘어 한국 초기 교회사를 새로 쓴 역작
서학은 어떻게 조선의 지축을 뒤흔들었나
“서학은 조선 사회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그런데 그것이 너무 과소평가되어온 느낌이다. 지축을 흔든 지진이 지나고 남은 흔적만으로 상황을 본 것은 아닐까? 의도적으로 은폐되고 지워져서 별일 없었던 것처럼 보인 것은 아닐까? 진앙의 한가운데 있던 사람들이 남긴 기록에는 다급했던 현장의 비명과 탄식이 묻어 있다. 행간을 조금만 세심하게 들여다보면, 그 기록들은 우리가 생각하지 않은 진실의 지점을 열어 보여준다.” _서언에서
조선 지성사의 전방위 분야를 깊이 탐구해온 우리 시대 대표 고전학자 정민 교수가 1770년대 중반 서학의 태동기부터 1801년 신유박해까지 초기 천주교회의 역사를 집대성한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를 펴냈다. 치밀한 연구와 철저한 고증을 토대로 천주교계와 학계에 답습되어온 오류를 바로잡았고, 새롭게 발굴·소개하는 문헌과 방대한 사료, 상세한 각주를 통해 서학을 둘러싼 논란과 쟁점을 검증하고 밝혔다.
다산 정약용을 다각도로 공부해온 정민 교수는 다산의 청년기와 천주교 신앙 문제를 다룬 《파란》을 집필하며 조선 사회에 서학이 끼친 영향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조선에 서학 열풍을 일으킨 천주교 수양서 《칠극》을 번역했고 제25회 한국가톨릭학술상 번역상을 수상했다. 《파란》과 《칠극》에서 시작된 정민 교수의 이러한 지적 여정은 18세기 조선을 관통한 초기 교회사 연구로 이어졌다. 정민 교수는 서학을 둘러싼 해묵은 논쟁과 신앙에 관한 기록에 살펴야 할 행간이 많음을 주목했고, 마침내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가 탄생했다.
서학의 수용과 배척이 불러일으킨 남인 내부의 첨예한 갈등, 이벽·정약종·황사영·강완숙 등 교회의 핵심 리더, 명도회를 비롯한 중앙과 지방의 신앙공동체, 명례방 집회와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 민중의 신앙생활과 퍼즐 같은 세례명 표기까지. 이 책은 탄압과 순교의 역사 뒤에 가려진 절체절명의 시간을 주요 인물과 조직, 사건을 중심으로 생생하게 되살려냈다. 서학 연구를 넘어 18세기 조선의 정치·사회·문화사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책이다.
은폐되고 검열된 자료에서 복원한 서학의 가려진 진실
역사의 사각지대에 숨겨진 절체절명의 시간을 생생하게 되살려내다
초기 서학 관련 자료는 기록의 문면에 드러난 사실만으로 진실에 다가서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서학을 수용한 당사자는 탄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남긴 기록에서 서학 관련 내용을 검열·삭제했고, 관련자는 가문의 명운을 걸고 당사자의 이름을 족보에서 파내는 등 실상을 은폐했다. 기록자는 거짓 정보를 섞고 피기록자는 덫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진실을 왜곡하고 굴절시켰다. 게다가 그간의 서학 연구는 신앙 행위의 증거를 찾아 순교자의 시복시성을 추진하기 위해, 또는 서학의 흔적을 배제해 연구 대상의 순정성을 지키기 위해 편파적인 태도로 이루어진 듯하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이처럼 맥락과 행간을 살펴야 하는 초기 교회사의 실상을 밝혀내기 위해 정민 교수는 《송담유록》, 《눌암기략》 등 그동안 거의 주목받지 못한 자료들을 재조명해 다른 문헌과 정밀하게 교차 검증했다. 1천 개가 넘는 주석을 붙여 논거를 분명히 제시했고, 이 책의 집필을 위해 《사학징의》, 《상재상서》 등 천주교 관련 주요 문헌의 번역과 주석 작업도 진행했다. 홍유한·황사영·김범우 후손가에 전해오는 족보, 호구단자, 간찰 문서 등 문중의 자료를 열람해 면밀히 검토했고, 《고려치명사략》, 《백가보》 〈신미년백서〉 등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자료들은 외국 도서관을 수소문해 찾아냈다.
이러한 집요하고 끈질긴 연구 끝에 다산 정약용이 1795년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 당시 신부를 탈출시킨 장본인이자 사학 세력을 근절하라는 밀명을 받고 초기 천주교회의 주역인 이존창을 검거한 당사자였다는 사실을 새롭게 증명했다. 또한 배교를 공언한 정약용의 글씨가 순교자 윤지충·권상연의 무덤에서 출토된 이유, 조선 최초의 영세자 이승훈이 남긴 배교 선언문에 대한 정교한 해석, 70여 년간 성전(聖典)으로 대접받아온 《성교요지》, 《만천유고》의 정체 등, 이 책은 학문적 객관성과 엄정성을 토대로 서학의 총체적 진실에 다가서고자, 천주교계와 학계를 통합하는 중간자적 시각으로 역사의 사각지대를 조명했다. 수용, 전파, 박해, 순교라는 단선적인 도식으로는 서학이 조선 사회에 끼친 영향을 면밀히 읽을 수 없다. 조선을 관통한 서학, 서학이 일으킨 소용돌이를 은폐되고 검열된 자료의 행간에서 입체적으로 복원한 기념비적 저작이다.
천주교계와 학계를 통합하는 중간자적 시각으로
바로잡고 밝혀낸 논란과 쟁점들
?서학이 불러온 남인 내부의 첨예한 갈등
서학의 수용과 배척이 남인 내부의 전쟁으로 확산된 것은 큰 비극이었다. 남인 성호학파의 원로 안정복은 서학을 신봉하는 후학들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학고〉, 〈천학문답〉을 지어 서학의 핵심 교리를 논박했다. 하지만 성호학파의 중진인 권철신, 이기양 등은 서학 공부를 멈추지 않았다. 남인 내부의 학문적 견해, 종교적 신념의 차이는 더욱 벌어지기만 했고, 서학을 존신하는 신서파와 서학을 배격하는 공서파의 갈등은 고조되었다. 여기에 정치적 노선의 문제까지 겹쳤다. 임금 정조는 80년 만에 남인 출신으로 재상에 오른 채제공을 중심으로 노론이 장악한 정국에 변화를 주고자 했다. 그러나 남인은 채제공의 친위 세력인 채당과 반(反)채제공 전선인 홍당으로 또다시 분화되었다. 채당에는 유독 신서파가 많았고 공서파는 끊임없이 서학 문제를 공격했다. 홍당은 노론과 손을 잡았다. 이러한 남인 내부의 분열로 인해 정조의 정국 구상도 어그러지고 말았다. 서학과의 접촉은 조선 내부의 긍정적 변화를 이끄는 동력이 되지 못하고, 위정척사의 명분 아래 세도정치에 날개만 달아준 셈이 되었다.
?배교를 공언한 정약용의 글씨가 순교자 윤지충·권상연의 무덤에서 출토된 이유
조선 교회 최초의 순교자인 윤지충과 권상연은 조상의 신주를 태워 없애고 제사를 거부하면서 일어난 진산 사건으로 1791년 사형당했다. 천주교를 믿던 정약용은 진산 사건 이후 조상 제사를 거부하는 교리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배교를 공언했다. 그런데 2021년 공개된 윤지충과 권상연의 무덤에서 정약용의 글씨가 적힌 지석 사발이 출토되었다. 지석 사발에는 무덤이 발견되었을 때 망자가 뒤바뀌지 않도록 인적 사항이 기록되어 있었다. 천주교를 거부한 정약용이 어떻게 순교자인 윤지충과 권상연을 위해 지석 사발을 쓸 수 있었을까? 정약용은 1787년 성균관 시험에서 제사에 관한 문제가 출제되자 백지를 제출한 적이 있다. 그때 정약용은 천주교에서는 제사를 지내는 것은 물론 제사에 대해 글을 쓰는 것조차 금지하기 때문에 백지를 낸다고 말했다. 그러니 1791년에 새삼 조상 제사를 이유로 배교했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윤지충·권상연의 무덤에서 출토된 지석 사발을 통해 정약용이 배교를 공언한 뒤에도 신앙생활을 놓지 않았고 드러나지 않게 활동했음을 알 수 있다.
?70여 년간 성전(聖典)으로 대접받아온 《만천유고》의 정체
조선인 최초로 세례를 받은 이승훈은 교회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생존을 위해 수차례 배교했고 때로는 동지를 고발하기도 했으나, 한편으로는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하여 시복시성을 기다리는 순교자로 옹호되기도 한다. 그의 유일한 문집으로 알려진 《만천유고》는 초기 천주교회의 주요 자료로서 70여 년간 성전(聖典)으로 대접받아왔다. 그러나 정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만천유고》에는 이승훈의 글이 한 편도 없다. 그 예로 《만천유고》의 2부에 해당하는 《만천시고》에는 이승훈이 세상을 뜨고 15년 후에 태어난 양헌수의 한시와 거의 동일한 한시가 실려 있다. 인물의 이름만 바꾼 한시를 베껴서 그대로 수록한 것이다. 정민 교수는 《만천유고》가 남의 글을 거칠게 모아 20세기 초반에 짜깁기된 가짜 책임을 분명하게 입증했다. 현재 진행 중인 이승훈의 시복시성과 관련된 문제인 만큼 《만천유고》에 대한 명확한 판단이 필요하다.
? 김범우의 유배지에 관한 논란을 종결짓다
이벽, 정약용 형제와 교분을 맺으며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인 김범우는 1785년 천주교 집회가 적발된 명례방 사건으로 귀양을 가서 이듬해 유배지인 충북 단양에서 죽었다. 그런데 경남 밀양 단장면에서 김범우의 무덤이 발견되었다고 알려지면서, 그의 유배지가 단양이 아닌 밀양 단장이라는 논란이 발생했다. 하지만 김범우 당시에 단장은 존재하지 않는 지명이었다. 1757년에 편찬된 《여지도서》는 물론 1834년 김정호가 정리한 《청구도》에도 밀양부 지도에 단장이란 지명은 없다. 만에 하나 김범우가 단장으로 귀양을 갔다 해도 유배지를 단장이라 할 수 없고 밀양이라고 썼어야 한다. 귀양지를 면 단위로 지칭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문중 기록에 따르면 김범우의 후손이 단장면에 정착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김범우가 죽고 84년 뒤인 1870년이었다. 정민 교수는 이제라도 김범우의 무덤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정민 교수는 김범우와 단장은 애초에 아무 인연이 없으며 김범우의 유배지는 충북 단양임을 명백히 밝혀냈다.
-
LIVE
TheItalianCEO
4 hours agoGTA V RP First Time EVER (help)
1,114 watching -
15:22
Russell Brand
2 days agoSO IT BEGINS.....
204K346 -
5:41
Chef Donny
2 days agoPan Frying Dumplings With Thanksgiving Leftovers | Tasty Tailgating Ep. 12
6.54K1 -
LIVE
Scottish Viking Gaming
4 hours ago🔴LIVE | STALKER 2 | Sunday Funday | The Zone makes my Brain Fuzzy
231 watching -
3:57:16
LumpyPotatoX2
4 hours agoNew Fortnite Season - #RumbleGaming
3.19K -
15:06
Forrest Galante
19 hours agoShooting Invasive Flying Carp with a Bow
116K48 -
6:39:16
Akademiks
23 hours agoThis is How Drake Comes Back!! Kendrick First Week Sales in. Diddy, Durk, YSL Update.
294K46 -
10:29
TimcastIRL
2 days agoJoe Rogan SLAMS Joe Biden For ESCALATING The War In Ukraine
151K218 -
14:21
Scammer Payback
25 days agoHacked Scammer Laptop to find their location
77.8K61 -
1:07:55
Bright Insight
22 hours agoThis Happened on the JRE Podcast...
238K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