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미생물 사냥꾼, 폴드크루이프, 과학자, 안톤반 레반후크, 세르베투스, 네덜란드, 파란풍차, 델프트, 양조업, 바구니제조업, 암스테르담, 렌즈연마, 성서, 화상, 연금술사, 약제사
최초로 미생물의 세계를 보았던 레벤후크로부터
매독치료제 살바르산을 발견한 에를리히까지,
미생물과의 싸움에서 승리하고 인류를 구한
13명의 미생물 사냥꾼들!
레벤후크의 날이 왔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인도에 가서 그리스 사람이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거대한 코끼리를 발견했다. 하지만 인도 사람들에게 코끼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말을 보는 것만큼 흔했다. 카이사르는 영국에 가서 눈이 휘둥그레질 만큼 야만적인 사람들을 만났다. 하지만 브리튼 사람들에게 이웃은 카이사르가 로마의 백부장을 보는 것만큼 평범했다. 발보아(유럽인 최초의 태평양 발견자)는 또 어떠했는가? 그가 처음 태평양을 보았을 때 느낀 자부심은 대단했을 것이다. 하지만 중앙아메리카 인디언들에게 태평양은 발보아가 생각하는 지중해와 마찬가지로 평범한 바다일 뿐이었다. 레벤후크의 경우는? 이 델프트의 문지기가 미생물의 환상적인 미시적 세계를 알아내고 밝혀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때까지 아무도 그런 미생물들이 살고, 번식하고, 투쟁하고, 죽는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이 괴물들은 수천만 배 몸집이 큰 사람들을 공격하고 파괴했다. 그들은 불을 뿜는 용이나 머리가 여섯 개 달린 괴물보다 더 두려운 존재였다. 포근한 요람에 잠든 아기들과 은신처에 피해 있는 왕들을 살해하는 조용한 암살자였다. 레벤후크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들여다본 것은 보이지 않고 하찮은, 그러나 무자비한 (때로는 다정하기도 하지만) 미생물의 세계였다.
--- pp.27-28
파스퇴르는 7년 전에 예언했다. “인간의 힘으로 기생체에 의한 질환을 이 지구상에서 없애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이 말을 했을 때 세상의 저명한 의사들은 모두 머리에 손가락을 얹으며 이렇게 생각했다. “저 불쌍한 사람이 미쳤군!” 그러나 이날 밤 로베르트 코흐는 파스퇴르의 그 미친 소리 같은 꿈을 이루기 위해 첫발을 내디뎠음을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었다. “탄저병으로 죽은 동물의 조직에 막대균이나 그 포자가 있다면 그것이 신선하거나, 부패했거나, 말랐거나, 혹은 일 년이 지났더라도 탄저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사실 앞에서 우리는 그 막대균이 탄저병의 원인이라는 것에 대한 모든 의심을 버려야만 합니다.” (…) 그렇게 코흐는 브로츠와프에서의 사흘 동안 인간의 손에 엑스칼리버를 쥐어주었다. 인간은 그 검을 가지고 적군인 미생물과 잠복해 있는 질병을 상대로 싸우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알약과 거머리로 요술을 부리던 의사들의 일 전체를 지적인 투쟁으로 바꿨다. 미신 대신 과학이 무기가 된 것이다.
--- pp.166-167
19세기 말이 되면서 낭만적이었던 미생물 사냥은 통상적인 직업으로 바뀌기 시작했고 예언자도 아니고 무모한 탐구가도 아닌 안정적이고 훌륭하며 원칙을 준수하는 젊은 의사들이 모여들었다. 그리고 자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 때문에 괴로움을 겪던 메치니코프도 형편이 좀 나아졌다. 그는 메달과 상금을 받았다. 어떤 회합에서는 당당하게 걸어 들어가는 그에게 독일인들도 존경의 박수를 보냈다. 수천 명의 연구자가 포식세포가 해로운 세균을 잡아먹는 것을 목격했다. 하지만 그것은 어떤 사람은 폐렴균의 공격을 받아 사망하는데 어떤 사람은 땀이 나다가 회복되는지를 전혀 설명하지 못했다. 그래도 폐렴균이 가끔씩 포식세포에게 먹혀서 제거된다는 것은 의심받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메치니코프의 놀라운 불합리성, 편협성 그리고 완고함을 다 에누리한다고 해도 그는 인류의 고통을 줄이고 삶을 더 편안하게 만들지도 모르는 발견을 실제로 했던 것이다. 언젠가는 몽상가, 멍해 보이는 보르데처럼 실험을 하는 천재가 나타나서 왜 포식세포가 어떤 때는 세균을 먹고 어떤 때는 먹지 않는지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가 항상 포식세포가 세균을 잡아먹도록 가르칠지도 모르는 일이다….
-
과학자가 해야 하는 일, 진정한 과학자가 되는 법을 알려주는 대중 과학도서의 영원한 스테디셀러!
‘과학’은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을 말한다. 당연히 ‘과학자’는 이런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깊이 있게 조사하고 사실들을 따져보는 사람이다. 그런데 이 ‘과학, 과학자’라는 단어가 언제 생겼는지 알고 있는가? 바로 19세기 사람인 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1867)와 윌리엄 휴얼(William Whewell, 1794~1866)이 처음으로 만들어낸 용어다. 17세기부터 과학은 서서히 철학에서 독립해 오직 관찰과 실험이라는 무기로 무장하고 사실만을 신봉하면서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가기 시작했다.
17세기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안톤 반 레벤후크(1장)는 현미경을 최초로 발명했고 맨눈으로는 볼 수 없는 작은 동물의 세상을 처음으로 들여다본 사람이 되었다. 이후 그는 영국 왕실협회와 꾸준히 서신을 주고받으며 자신이 발견한 수많은 사실을 충실하게 보고했다. 18세기 북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라자로 스팔란차니(2장)는 법률가가 되는 대신 과학자가 되기로 선택했고 자연발생설이 틀렸음을 실험으로 입증해냈다. 그는 극도로 작은 미생물을 한 마리만 분리해내는 방법을 알아내기도 했다.
19세기로 넘어와서는 위대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3장)가 발효는 어떻게 발생하며 이스트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혀냈다. 또 프랑스의 실크산업을 구해냈고 맥주를 맛있게 만들었으며 영국 외과의사 리스터는 파스퇴르의 세균설로 안전한 수술실을 만들어낼 수 있었기에 그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로베르트 코흐(4장)는 프러시아의 시골의사로 당시 농부들에게 큰 문제가 되던 탄저병원균을 발견하고 매년 인구의 7분의 1을 죽이던 결핵원인균을 연구했다. 그리고 콜레라의 원인균도 발견했다.
이후 파스퇴르(5장)는 탄저병을 앓다 살아남은 동물은 면역을 얻는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병원균을 약독화하는 방법을 알아냈다. 또 광견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찾아내고 백신을 개발했다. 루와 베링(6장)은 디프테리아 항독성 혈청을 만들어냈고 메치니코프(7장)는 미생물을 걸신들린 듯 먹는 백혈구 포식세포에 대한 연구를 했다.
미국 미생물 연구의 대장인 테오발드 스미스(8장)는 들판을 실험실 삼아 4년간의 연구를 통해 소들을 괴롭히는 텍사스열을 옮기는 주범이 진드기임을 밝혀내기도 했다. 미생물 연구에 현장 연구라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한 것이다. 이제 무대는 아프리카로 옮겨진다. 영국 군인이자 의사인 데이비드 브루스(9장)는 아프리카에서 수면병을 옮기는 범인으로 체체파리를 체포한다. 멀리 인도에서는 로널드 로스가 말라리아를 연구하고 그라시는 이탈리아에서 말리리아를 옮기는 특정 모기를 확인한다(10장). 미생물 연구의 역사에서 연구자들 간의 다툼이나 시기는 종종 있었다. 로스와 그라시도 마찬가지로 누구의 공적이 더 많은가를 두고 유치한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황열을 막은 공로는 월터 리드(11장)와 그의 팀에게 돌아가야 하지만 그 뒤에는 위대한 조력자들이 있었다. 황열 또한 모기를 매개로 옮겨지는데 동물은 걸리지 않고 오직 사람만을 죽인다. 이 말은 사람을 대상으로 실험해야 한다는 뜻이다. 용감한 자원자들의 도움으로 인류는 또 한 번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마지막 장은 비소화합물로 특정 질병에만 작용하는 마법의 치료제를 만들어낸 파울 에를리히(12장)에 대한 이야기다. 저자 드 크루이프는 가까운 미래에 또 다른 미생물학자들이 아직 발견해내지 못한 많은 미생물의 비밀을 연구해내 마법의 탄알을 더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하며 책을 끝낸다.
수많은 사이언스 키즈science kids를 만들어낸 바로 그 책!
의학자의 길을 걷게 된 이유로 의사들이 손꼽은 명저!
의학전문대학원 추천도서!
90년 동안 18개국어로 번역된 스테디셀러!
이 책은 안톤 반 레벤후크부터 스팔란차니, 파스퇴르, 코흐, 메치니코프에서 파울 에를리히에 이르기까지 초기 미생물학자들이 어떻게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눈에 보이지도 않는 미생물을 발견해내고 실험을 통해 전염 경로를 파악했으며 마침내 예방법까지 알아냈는지를 자신도 과학자인 저자가 과학적이면서도 재치 넘치는 문체로 알려준다. 이를 통해 과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과학을 해야 하는지, 과학자가 추구해야 하는 이상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과학이나 의학 관련 학과를 지망하는 10 대뿐 아니라 모든 과학자가 꼭 한 번은 읽어야 하는 필독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목차
서문
1 · 안톤 반 레벤후크: 첫 번째 미생물 사냥꾼
2 · 라자로 스팔란차니: 미생물도 부모가 있다!
3 · 루이 파스퇴르: 미생물은 위험하다!
4 · 로베르트 코흐: 죽음과 싸운 전사
5 · 루이 파스퇴르와 미친개
6 · 에밀 루와 에밀 베링: 기니피그를 대량학살하다
7 · 일리야 메치니코프: 멋진 포식세포들
8 · 테오발드 스미스: 진드기와 텍사스열
9 · 데이비드 브루스: 체체파리를 추적하다
10 · 로널드 로스와 바티스타 그라시: 말라리아
11 · 월터 리드: 과학의 발전과 인류를 위해
12 · 파울 에를리히: 마법의 탄알
역자 후기
찾아보기
접어보기
저자 소개
저자 : 폴 드 크루이프
미생물학자. 네덜란드계 미국인으로 미시간 대학교University of Michigan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곧바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해 프랑스 주둔지에서 가스로 인한 괴저gangrene를 예방하고 조사하는 일을 진행하면서 저명한 프랑스 생물학자들과 만날 기회를 갖게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미시간으로 돌아와 존경받는 세균학자였던 프레더릭 노비Frederick Novy의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그가 쓴 연쇄상구균과 보체활성화補體活性化 현상에 대한 논문은 당시 선구적인 생명과학 연구 시설이었던 록펠러 연구소Rockefeller Institute 과학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고, 이에 록펠러 연구소에서 1920년부터 2년간 호흡기 감염 현상에 대한 연구를 책임지게 되었다. 연구소를 나와서는 과학도서 집필에 전념했다. 대표작으로는 『미생물 사냥꾼Microbe Hunters』(1926), 『Men Against Death』(1932), 『The Fight for Life』(1938), 『The Sweeping Wind』(1962) 등이 있다.
-
1:00:47
The Dan Bongino Show
3 hours agoWhat Did Zelensky Know? When Did He Know It? (Ep. 2426) - 02/19/2025
209K592 -
45:27
Benny Johnson
2 hours ago🚨Kash Patel WINS Critical FBI Director Confirmation Vote as Trump MASS FIRES Deep State Prosecutors
55K33 -
1:08:01
Timcast
2 hours agoDemocrats PANIC Over Trump Order To "Seize Control" Of Federal Agencies, Trump Asserts FULL Control
106K54 -
55:32
MYLUNCHBREAK CHANNEL PAGE
18 hours agoA Little Help From Angels?
10.5K11 -
LIVE
LFA TV
16 hours agoLET'S KASH IN! | LIVE FROM AMERICA 2.19.25 11AM
5,139 watching -
Caleb Hammer
1 hour agoChildish Couple Won’t Stop Cheating On Each Other | Financial Audit
12.2K1 -
2:16:08
Matt Kohrs
13 hours agoMarket Open: Key Options Levels & Breaking News || The MK Show
45.8K1 -
42:49
BonginoReport
6 hours agoBlasphemy: Hollywood Casts Queer Female Jesus (Ep.143) - 02/19/2025
93.5K189 -
2:59:05
Wendy Bell Radio
8 hours agoGETTING IT DONE
63.7K44 -
1:29:17
Graham Allen
5 hours agoPete Hegseth Is Going After BIDEN for Afghan Withdrawal!! + Trump EXPOSES Insane Spending!!
64K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