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mium Only Content

강신주의 감정수업, 스피노자, 얼굴, 경탄, 기적, 사랑, 열등, 오래오래, 에릭오르세나, 프랑스,소설가, 바로미터, 밀란 쿤데라, 자긍심, 정체성, 풀잎은 노래한다, 도리스 레싱
머리말
프롤로그
1부 땅의 속삭임
1비루함,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극복해야 할 노예의식
『무무』, 이반 투르게네프
2자긍심, 사랑이 만드는 아름다운 기적
『정체성』, 밀란 쿤데라
3경탄, 사랑이라는 감정의 바로미터
『오래오래』, 에릭 오르세나
4경쟁심, 서글프기만 한 사랑의 변주곡
『술라』, 토니 모리슨
5야심,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약점
『벨아미』, 기 드 모파상
6사랑, 자신을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변화시킬 수 있는 힘
『동풍서풍』, 펄 벅
7대담함, 나약한 사람을 용사로 만드는 비밀
『1984』, 조지 오웰
8탐욕, 사랑마저 집어삼키는 괴물
『위대한 개츠비』, F. 스콧 피츠제럴드
9반감, 아픈 상처가 만들어낸 세상에 대한 저주
『풀잎은 노래한다』, 도리스 레싱
10박애, 공동체 의식을 가능하게 만드는 원동력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11연민, 타인에게 사랑이라는 착각을 만들 수도 있는 치명적인 함정
『초조한 마음』, 슈테판 츠바이크
12회한, 무력감을 반추하도록 만드는 때늦은 후회
『전락』, 알베르 카뮈
2부 물의 노래
13당황, 멘붕, 즉 멘탈붕괴와 함께 하는 두려움
『채털리 부인의 연인』, D. H. 로렌스
14경멸, 자신마저 파괴할 수 있는 서글픔
『여인의 초상』, 헨리 제임스
15잔혹함, 사랑의 비극
『인생의 베일』, 서머싯 몸
16욕망, 모든 감정에 숨겨져 있는 동반자
『프랑스 중위의 여자』, 존 파울즈
17동경, 한때의 기쁨을 영속시키려는 서글픈 시도
『아우라』, 카를로스 푸엔테스
18멸시, 사랑이라는 감정의 막다른 골목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에드워드 올비
19절망, 죽음으로 이끌 수도 있는 치명적인 장벽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20음주욕, 화려했던 과거로 돌아가려는 발버둥
『밤으로의 긴 여로』, 유진 오닐
21과대평가, 사랑의 찬란한 아우라
『허조그』, 솔 벨로
22호의, 결코 사랑일 수 없는 사랑
『노르웨이의 숲』, 무라카미 하루키
23환희, 원하는 것이 선물처럼 주어질 때의 기적
『판결』, 프란츠 카프카
24영광, 모든 이의 선망으로 타오르는 위엄
『노인과 바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3부 불꽃처럼
25감사,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품고 친절을 베풀 수밖에 없는 서러움
『거미여인의 키스』, 마누엘 푸익
26겸손, 진정한 사랑을 위한 자기희생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 에밀 졸라
27분노, 수치심이 잔인한 행동이 될 때까지
『죄와 벌』, 도스토예프스키
28질투, 사랑이 드리우는 짙은 그림자
『질투』, 알랭 로브그리예
29적의, 자신의 삶을 지키려는 허망한 전투
『개인적인 체험』, 오에 겐자부로
30조롱, 냉소와 연민 사이에서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나쓰메 소세키
31욕정, ‘프레스토’로 격하게 요동치는 영혼
『악마』, 톨스토이
32탐식, 자신의 동물성을 발견하게 될 때
『먹는 일에 대한 이야기 둘』, 모옌
33두려움, 과거가 불행한 자의 숙명
『유령』, 헨리크 입센
34동정, 비참함이 비참함에게 바치는 애잔한 헌사
『티파니에서 아침을』, 트루먼 커포티
35공손, 무서운 타자에게 보내는 친절
『인간 실격』, 다자이 오사무
36미움, 내가 파괴되거나 네가 파괴되거나
『피아노 치는 여자』, 엘프리데 옐리네크
4부 바람의 흔적
37후회, 모든 불운을 자기 탓으로 돌리는 나약함
『캐스터브리지의 읍장』, 토머스 하디
38끌림, 사랑으로 꽃필 수 없어 아련하기만 한 두근거림
『연인』, 마르그리트 뒤라스
39치욕, 잔인한 복수의 서막
『토요일』, 이언 매큐언
40겁, 실패를 예감하는 위축된 자의식
『여명』, 시도니가브리엘 콜레트
41확신, 의심의 먹구름이 걷힐 때의 상쾌함
『레베카』, 대프니 듀 모리에
42희망, 불확실해서 더 절절한 기다림
『위대한 유산』, 찰스 디킨스
43오만, 사랑을 좀먹는 파괴적인 암세포
『위험한 관계』,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
44소심함, 작은 불행을 선택하는 비극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프랑수아 사강
45쾌감, 포기할 수 없는 허무한 찬란함
『도나 플로르와 그녀의 두 남편』, 조르지 아마두
46슬픔, 비극을 예감하는 둔탁한 무거움
『미국의 비극』, 시어도어 드라이저
47수치심, 마비된 삶을 깨우는 마지막 보루
『더블린 사람들』, 제임스 조이스
48복수심, 마음을 모두 얼려 버리는 지독한 냉기
『빙점』, 미우라 아야코
에필로그
[예스24 제공]
목차 닫기
출판사 서평
‘감정의 윤리학자’ 스피노자와 함께 떠나는 내면의 여행
이성과 감성, 인간은 이 두 가지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어야 온전한 삶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가부장제와 물질만능주의가 야기하는 억압적인 구조 아래에서 감정을 억누르며 살 수밖에 없다. 이성이 절대 위치에 있는 철학 전통에서 인간을 이해하는 데 감정이 중요한 키워드임을 주지시켰던 ‘혁명적인’ 철학자가 있었으니, 바로 17세기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유대인 교회에서 파문당한 스피노자다. 스피노자는 『에티카』 3부에서 인간의 감정을 크게 48가지로 분류하고, 그와 유사한 감정들을 비교하면서 파고들었는데, 인간의 감정을 이토록 세분해서 소개한 철학자는 없었다. 대중과의 소통을 소중히 여기는 철학자 강신주 박사는 자아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에게 지금 시급한 문제는 바로 자기 감정을 회복하는 일이라고 주장한다. 저자는 철학자의 어려운 말을 독자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하여 위대한 심리학자와도 같았던 작가들의 이야기에서 예를 가져온다. 또한 자칫 추상화될 수 있는 인문학을 구체적인 현실과 연결 짓기 위하여 저자는 지난 10여 년간 ‘철학 카운슬러’로 활동한 경험을 살려 ‘철학자의 어드바이스’를 덧붙였다. 이제 우리는 잠자고 있는 감성을 깨울 시간이다. 타인의 감정을 살피고 나의 감정을 들여다보기 위하여 각 장마다 그림 보는 시간을 할애했다. 그리하여 『강신주의 감정수업』은 스피노자의 48개의 감정, 48권의 세계 문학의 걸작, 철학자가 들려주는 48개의 어드바이스, 그리고 자신의 감정을 시각화했던 예술가들의 명화 45개로 이루어진 책이다.
★ 우리는 왜 내 감정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가?
현재에 살지만 과거나 미래에 사로잡힌 사람의 행동 준칙은 ‘선(Good)과 악(Evil)’이다.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목소리에 충실한 사람의 행동 준칙은 ‘좋음(good)과 나쁨(bad)’이다.
감정은 우리 삶의 속도만큼 충분히 지속적이다. 그러니 감정의 색채를 믿고 따르라! 자신의 심장 소리와 함께 지속되는 그 감정의 목소리를 존중하라! 그것이 당신의 삶을 현재로 충만하게 사는 유일한 방법이니까. 물론 그러기 위해서 여러분은 타인의 평가에서 자유롭고 당당해져야만 한다. 주변 사람들은 자유로운 감정의 소유자와 당당한 사람을 무서워하는 법이다. 그건 자신들이 그렇게 살지 못하고 있다는 자괴감 때문이다. 비겁함 때문에 자신이 따먹지 못한 과일을 과감히 따먹는 사람을 보고 마음이 편할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 감정을 순간적이라고 저주하면서 현재를 부정하는 사람들, 그래서 현재에 살지만 과거나 미래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사람들의 행동 준칙은 ‘선(Good)과 악(Evil)’이다. 반면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의 목소리에 충실한 사람들이 따르는 행동 준칙은 ‘좋음(good)과 나쁨(bad)’이다. 돌아보면 경제적인 여러 이유로 사랑하는 남자를 포기한 여성은 ‘좋음과 나쁨’의 기준이 아니라 ‘선과 악’의 기준을 따른 것이다. 여러 가지로 무능력해 보이는 남자와 결혼하는 것, 그것은 자본주의라는 공동체의 가치를 수용하고 있는 부모나 친구들에게서는 악으로 보였던 것이다.
―「에필로그」에서
이 책에서 감정 하나하나를 구체적인 예와 함께 파고드는 이유는 스스로 나의 감정의 정체를 식별하는 훈련을 하기 위함이다. ‘연민’이나 ‘동정'을 사랑으로 착각하는 여자들, ‘질투'를 사랑의 증거라고 오해하는 남자들, ‘경멸'과 ‘멸시' 속에서도 헤어지지 못하는 연인들… 억압적인 자본주의와 권위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현대인은 나의 감정에 충실하지 못하고 돈 버는 남편으로서, 공손한 며느리로서, 말 잘 듣는 자식으로서 인습의 노예로 살아간다. “나쁜 감정인데 좋은 감정이라고 착각하거나, 반대로 좋은 감정인데 나쁜 감정이라고 혼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감정의 혼동은 삶의 혼동을 낳고, 마침내 자신을 불신하는 것으로 막을 내리기 쉽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느끼고 있는 나의 감정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 것, 이것은 바로 내가 누구인지를 알고, 또 비로소 내가 내 삶의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는 첫 걸음이다.. 이제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자신의 감정을 따르지 않는다면 우리는 내 삶을 행복하게 살아낼 수 없다는 진실을. 비극이 발생하는 두 번째 이유는 우리가 자신의 마음을 뒤흔드는 다양한 감정들에 너무나 서툴렀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두 번째 이유에서 발생하는 비극을 막기 위해서, 지금 자신을 휘감고 있는 감정이 슬픈 것인지 아니면 기쁜 것인지 정확히 식별할 수 있어야만 한다.
―「에필로그」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어쩌면 “그것은 감정을 억누르거나 죽이는 기술을 얻었다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감정은 “평범한 삶을 뿌리에서부터 뒤흔들 수 있는 힘”을 지녔기 때문에 우리의 운명을 좌우할 만큼 신적이기까지 하다.
★ 철학자가 읽어주는 48권의 소설
사랑의 감정은 질투라는 감정을 낳지만,
반대로 질투라는 감정이 사랑의 감정을 낳지는 못하는 법.
질투는 단지 사랑의 찌꺼기에 해당하는 감정일 수밖에 없으니까.스피노자는 ‘비루함(abjectio)’의 감정을 “슬픔 때문에 자기에 대해 정당한 것 이하로 느끼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이렇게 철학적인 명제를 일반 독자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저자는 스피노자가 정의한 감정을 소설 문학을 통해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예를 들어 투르게네프의 『무무』에서 농노 게라심은 그토록 사랑하는 강아지 무무를 왜 자기 손으로 직접 강물에 던져야 했을까?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빼앗기고 나자, 게라심은 자신도 모르게 노예가 아니라 주인이 되지 않는다면 사랑도 지킬 수 없다는 진실을 자각하게 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사랑의 기적이다. 나 또한 사랑의 기쁨을 지켜낼 수 있는 주인으로 살고 있는가?
―「1 비루함,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
2:11:38
The Quartering
5 hours agoNew Karmelo Anthony Video, Pride Collapses, Bill Belichick Elder Abuse, Trump Assassin Texts Drop!
137K28 -
LIVE
LFA TV
21 hours agoALL DAY LIVE STREAM - TUESDAY 4/29/25
812 watching -
LIVE
John Crump Live
1 hour agoOur Tier List ofAR-15s!
101 watching -
1:19:07
The Confessionals
5 hours agoWhat If You Were Chosen for Battle in a Realm Where Darkness Rules?
5.22K2 -
1:19:14
Awaken With JP
3 hours agoEpstein Victim: It Was Definitely a Suicide - LIES Ep 89
72.6K34 -
1:22:51
The HotSeat
2 hours agoTrump Wrote History — Democrats Wrote Their Own Obituary in the First 100 Days
17.1K1 -
1:44:27
Rebel News
4 hours ago $6.15 earnedElection fallout, Two leaders lose their seats, Canada's future | Rebel Roundup
49K40 -
LIVE
Right Side Broadcasting Network
5 days agoLIVE: President Trump Holds a Rally Celebrating his First 100 Days in Warren, MI - 4/29/25
11,048 watching -
1:10:39
The Officer Tatum
2 hours agoLIVE Amazon EXPOSED After PROPOSED Tariff Website Feature, Canadian Election + MORE EP 97
25.2K2 -
1:40:46
Russell Brand
5 hours agoIT’S WAR! Canada Elects GLOBALIST, As PM Vows To “FIGHT” Donald Trump – SF574
151K76